◈ 운동신경은 유전이 될까?
넌, 아빠를 닮아서 운동신경이 없는거야..
어릴 적 참 많이 들은 말인데 과연 운동신경이 유전 된다는 것인가? 차범근과 차두리, 조오련과 조성모 등은 2대째 운동선수를 한 부자지간이다. 이들을 보면 운동신경은 유전이 되는 것이 맞는 말이기도 한 것 같다. 그런데 운동신경은 유전과는 거의 관계가 없다고 한다.
운동신경은 뇌에서 발생된 운동 지령을 사지에 전달하는 신경 다발로, 이 전달 및 반응 속도가 빠르면
운동신경이 좋다라고 한다. 즉, 운동선수는 꾸준한 연습과 훈련을 통해 뇌와 근육의 반응 체계를 지속적으로 발달시켰기 때문에 일반인들보다 운동신경이 더 좋은 것이다. 따라서 아빠를 닮아서 운동신경이 없는 것이 아니라 아빠처럼 게을러서 운동신경이 없다는 말이 더 맞는 말일 것이다.
– by 과학향기 2005.06.01
위의 기사에서 보듯이 과학향기에서 운동신경이 나쁜 것은 유전적인 것이 아니고 후천적인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물론 운동신경이 후천적인 영향을 안 받는 것은 아니겠지만, 선천적인 요인이 적다는 것은 아니란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이 글을 작성한다.
우선 운동에는 기본적으로 지구력과 근력과 순발력이 필요하다.
지구력은 끊임없는 노력을 하면 거의 대다수의 사람들이 갖출 수 있는 요소이다. 물론 간혹 어떠한 질병적/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문제가 되는 경우 중에서 옛날에 읽은 책에 의하면 근육의 생김새는 정상적인데 근육에서 에너지 대사를 처리하는 미토콘드리아에 변이가 일어나서 에너지 신진대사의 효율이 너무 낮아 지구력이 나쁜 사람이 있다고 한다. 또 어떤 선천적/후천적 장애로 인해서 지구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일반인의 경우는 지구력이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서 형성된다는 말이 대체적으로 맞는 것 같다.
근력은 유아기 때 형성된 근육세포의 수에 의존하게 되는데,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면 근육의 부피가 팽창하고, 근력은 근육의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힘이 더 세지게 된다. 대체적으로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맞는 말인 것 같다.
순발력은 빠르게 움직이는 능력을 말하는데 정교한 몸놀림, 빠른 인지능력을 그 바탕으로 한다. 또한 공간지각력, 도형 인지능력이 필요하다. 이 능력들은 수학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지만, 운동을 할 때도 반드시 필요하다. 또 정확한 용어는 모르겠지만 자기 몸 상태를 파악하고, 인식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은 후천적으로 길러지는 능력들이 아니며, 선천적인 요인이 많이 있다.
따라서 지구력/근력과는 다르게 순발력은 후천적인 요인이 작용할 여지가 별로 없다고 보여진다. 물론 많은 후천적인 연습에 의해서 조건반사에 의해서 순발력이 많이 빨라지기는 하지만 선천적으로 타고난 사람만큼 할 수는 없다. 또한 지구력/근력도 후천적인 요인이 굉장히 많이 작용하지만 선천적인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도 없는 것이다.
만약 모든 운동신경의 역량이 후천적인 것이라면 각 인종별로 뛰어난 종목이 존재하는 것을 설명할 수 없다. 또 뛰어난 재능을 지닌 운동선수를 찾는 일은 부질없는 일이 될 것이다. 아무나 정신력이 강한 사람을 뽑아서 훈련시키면 뛰어난 선수가 될 수 있을 텐데 왜 굳이 수백~수천 명중 한두 명 있을 인재를 찾아다닌다는 이야기인가? 물론 후천적인 요인을 무시할 수도 없다. 만약 후천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선천적으로 타고난 사람들만 뽑아놓으면 훈련 안 하고도 항상 1등을 할 텐데???
운동신경이란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이 적절히 결합되어 나타나는 결과물이다.
누군지 몰라도 운동신경을 유전과 상관없이 후천적인 노력만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본 건…. 글을 쓴 사람이 운동을 잘 하며 부주의한 사람이기 때문에 단편적인 생각을 했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다.
운동은 선천적인 요인이 좀 크죠.
제가 하루종일 몇 십 년 달리기 연습한다고 해서 우사인볼트가 되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ㅎㅎ
말씀대로 운동 신경이 없는 걸 보고 게으르다고 하는 건 좀 잘못된 듯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