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블로그의 현황과 특성

4 comments

인터넷 웹사이트의 정보를 포털이나 검색엔진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하고 특별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각각의 웹사이트를 뒤져야 하고, 그렇게 해서 얻은 정보도 사실상 정확도가 많이 떨어졌다. 그래서 홈페이지나 게시판 중심의 사이트들을 분석하기 위해서 포털이나 검색엔진에서는 엄청난 서버 컴퓨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블로그는 등록된 글을 다른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ATOM 기능이 있다. RSS 또는 ATOM은 블로그의 각 구성요소 중에 꼭 필요한 요소들에 공통의 이름을 붙여 정보를 수집하기 쉽게 만든다. 예를 들어 글의 제목은 항상 태그(<Title>과 </Title>같은 것) 사이에 넣는 방식이다. 블로그 사이트들마다 글 제목의 위치와 색, 글자크기 등이 다르더라도 RSS의 태그를 똑같이 유지함으로서 같은 요소임을 알게 하는 것이다. 처음부터 블로그에서 구현됐던 것도 아니고, 또 현재에도 필수요소로 자리잡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블로그에서 이 기능을 지원하게 되면서 블로그의 글(Post)들을 쉽게 모아 독자에게 보여주는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일이 쉬워졌다. 그래서 RSS나 ATOM 기능을 이용하여 블로그들의 글을 수집하여 독자들에게 보여주는 전문적인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블로그의 새로운 글들을 독자들에게 알려주는 사이트는 RSS리더와 메타블로그(Metablog)다. RSS리더는 독자가 새로운 글이 올라오는 것을 읽기를 원하는 (흥미를 느끼는) 블로그를 등록하고 RSS를 통해 수집한 글들을 읽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서비스다. 메타블로그는 수집한 RSS의 내용을 바탕으로 독자들에게 좋은 글을 선별하여 읽도록 추천하는 서비스다. 서비스의 정의는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략 이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이 두 서비스는 경계가 모호하다.

1. 메타블로그의 분류
국내와 해외의 메타사이트는 매우 많으며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큰 부류로 볼 때의 메타사이트들의 종류를 살펴보자.

① 설치형 메타블로그와 가입형 메타블로그
각 사용자들이 자신의 컴퓨터 또는 호스팅(Hosting) 업체의 서버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설치형 메타블로그와 기업이 만들고 블로거는 회원으로 가입하여 활동할 수 있는 가입형 메타블로그로 나눌 수 있다.

2008년 2월에 혜성처럼 등장한 메타블로그 믹시(www.mixsh.com)

설치형 메타블로그는 Tattertools 또는 Textcube라는 블로그툴을 설치한 뒤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운영할 수 있는 ‘날개’와 날개를 수정 보완한 (ITcanus라는 업체에서 현재 개발중인) ‘블로그라운지’, 프리웨어로 배포되고 있는 넘즈허브(Numz HUB), 소규모 메타를 구성하여 자기 블로그를 관리하기 위해 만든 피드웨이브(FEEDWAVE), XpressEngine 등 종류가 다양하다. 설치형 메타블로그들은 공통적으로 트래픽(서버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대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RSS Bot을 돌리는 작업과 방문자를 맞이하는 일을 개인이 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가장 많은 블로그가 등록되어 있는 올블로그(www.allblog.net)

가입형 메타블로그는 가장 많은 회원수를 자랑하는 올블로그(allblog), 가장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블로그코리아(Blogkorea), 2008년 2월에 혜성처럼 등장한 믹시(Mixsh), 연예·가십의 컨셉에 맞춰진 미디어몹(mediamob)이나 오픈블로그(openblog) 등 다양한 형태의 메타블로그가 보편적이다. 또 블로거들끼리 모여 작은 메타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메타사이트가 있다. 가입형 메타블로그들은 사용자들 중에 활발히 활동하는 특정한 성향의 회원들에 의해 특정 분야의 글들이 집중적으로 메인화면에 노출되는 경향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회원수가 가장 많은 올블로그의 경우 IT, 정치, 경제 분야의 글들이 집중적으로 노출된다. 블로그+(blogplus)라는 메타블로그의 경우 운영진에 의해서 연예·가십과 스포츠 분야의 글이 집중적으로 노출되어 현재는 다른 분야의 글이 노출되지 않고 있다.
가장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블로그코리아(www.blogkorea.net)

② 전문 메타블로그
회원수의 증가와 독자 또는 블로거의 편중현상이 발생할 경우 특정 분야의 글이 집중적으로 메인에 노출되는데 그러나 전문성을 띄지는 못한다. 그래서 처음부터 전문성을 표방하며 시작하는 메타블로그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스포츠 전문 메타사이트를 표방하고 출범한 블로그스포츠(http://www.blogsports.kr), 여행 전문 사이트인 윙버스(http://www.wingbus.com), IT관련 블로그의 글들만 모아주는 Daum DNA Lens(http://dna.daum.net/lens), 의학 전문 메타블로그인 닥터블로거(http://metablog.kmatimes.com), 경상남도의 지역이야기를 모으는 경남도민일보의 블로거’s 경남(http://metablog.idomin.com), 대학생들을 위한 On20(http://www.on20.net) 등의 다양한 전문 메타블로그가 현재 운영되고 있고,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보다 웹(Web)환경이 발달한 미국의 경우 소소한 분야에 이르기까지 메타블로그가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한 모습이 2~3년 후의 우리나라의 모습이라고 생각해도 틀림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③ 다음 블로거뉴스와 hanrss
포털인 다음(DAUM)에서도 메타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음 블로거뉴스(http://bloggernews.media.daum.net)가 그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메타사이트로서 메인에 1일 걸리면 방문자가 1만명 이상, 많을 땐 몇 십만 명쯤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음 블로거뉴스는 실질적으로 다수의 프로블로거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현재 다음 블로거뉴스는 독자들에 의해 추천을 받아 좋은 글을 베스트에 노출시키는 열린편집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베스트에 오른 글들은 동시에 포털사이트 다음의 메인화면 중간에 노출된다.

다음 블로거뉴스

RSS리더인 한RSS(hanrss)는 메타블로그로 생각해야 하는지 분류가 불분명하다. RSS리더임이 확실하지만 이용자 수가 늘면서 관련된 통계를 보여주고 있고, 가장 많이 읽힌 글을 페이퍼(http://www.hanrss.com/paper)로 정리하여 보여줌으로서 메타의 역할까지 하고 있다.

④ 가입형 소형 메타블로그
설치형 메타블로그 사이트가 근본적인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자 회원들이 각자의 메타블로그 만들어 운영하는 형태의 메타블로그들이 선보였다. 가장 먼저 선보인 서비스가 위드블로거(http://www.withblogger.com) 서비스이고, 차례로 올블로그 블로그카페(http://cafe.allblog.net), 프로플(http://www.proples.co.kr)가 등장했었다. 세 서비스 모두 독자적 스킨설정, 독립도메인 설정 지원 등의 기능을 지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올블로그 블로그카페만 유지되고 있으나 관리되지는 않고 있어 실질적으로 사용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많은 블로거들에 의한 가수요가 있는 상황이므로 새로운 소형 메타블로그가 등장하기를 기대해본다. 다만 가입형 소형 메타블로그에서 회원들의 필요한 글을 정확히 자동분류해주는 등의 기능을 우선 구현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네이버에서 만든 서비스인 오픈캐스트(http://opencast.naver.com)는 그 구성과 활용을 생각할 때 메타블로그와는 성격이 다른 유사서비스로 볼 수 있다.

2. 메타블로그 목록
메타블로그들을 소개한다. 밑의 메타블로그 목록은 우리나라에서 개설되어 운영되는 메타블로그의 일부다. 각자의 특성과 운영되는 방식도 다르고, 활성화 정도도 또한 다 다르다.
블로그를 처음 운영하시는 분들께서는 시간을 내어 일일히 살펴보시면 블로그에 익숙해지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래서 스스로 방문하여 메타블로그에 대해 살펴보시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래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블로거뉴스 : http://bloggernews.media.daum.net
올블로그 : http://www.allblog.net
블로그코리아 : http://www.blogkorea.net
믹시 : http://www.mixsh.com
미디어 블로그 : http://www.mediamob.co.kr
오픈블로그 : http://kr.openblog.com
블로그플러스 : http://blogplus.net
ON 20 : http://www.on20.net
프리로그 : http://www.freelog.net
풀로그 : http://plog.jinbo.net
나루 : http://www.naaroo.com
K모바일 뉴스 : http://kmobile.co.kr
코리안 블로그 : http://www.koreanblog.com
지하철 블로그 : http://subwayblog.dreamwiz.com
블로그 스포츠 : http://blogsports.sportsseoul.com
블로그 와이드 : http://www.blogwide.kr
블로그 나와 : http://www.blognawa.com
블로그 모아 : http://www.blogmoa.com
GLASSLOG : http://www.grasslog.net
넘즈넷 : http://numz.net
이올린 : http://www.eolin.com
콜콜넷 : http://www.colcol.net
뉴스 2.0 : http://www.news2.co.kr
BrainN : http://www.brainn.co.kr
이버즈 : http://blog.ebuzz.co.kr
블로그 정글 : http://blogjungle.stoo.com
문화블로그 난장 : http://metablog.publicart.or.kr
블로그라떼 : http://www.bloglatte.net
다음 DNA 렌즈 : http://dna.daum.net/lens
한RSS : http://www.hanrss.com
온타운 : http://www.ontown.net
NEOEARLYspot : http://www.neoearly.com/blog
OpenYourBook : http://openyourbook.net
MILK9 : http://milk9.com
보솜이 : http://www.bosomi.co.kr
블로그 미르 : http://www.blogmir.com
유니톡 : http://www.unitalk.kr
벨로캉 : http://www.belowkang.com
오릿 : http://www.wzd.com/ussz
패션스팟 : http://www.fashionspot.kr
블로그포스트 : http://www.blogpost.kr
닥블 : http://docblog.kr/wing
에누리북 메타블로그 : http://www.enuribook.co.kr

※ 테크노라티(Technorati) http://technorati.com (미국 사이트)

4 comments on “메타블로그의 현황과 특성”

  1. 핑백: Danzy's 色々
    1. 이건 일부구요. 아마 다 모으면 100개 정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실제로 몇 개 있다는 걸 아는 사람은 없구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