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강나방 (Pseudaletia separata)

No comments

멸강나방은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는 못하지만, 매년 중국에서 날아와 5 ~ 8 월에 두세 번 애벌레가 생긴다. 애벌레는 온갖 식물의 잎과 줄기를 갉아먹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두 번째 발생한 애벌레가 어른벌레가 되는 시기인 9 월 초의 일 주일 동안 집중적으로 볼 수 있다. 중국에서 어른벌레가 많이 생길 철에 태풍이 중국을 거쳐 북상하면 특히 많이 생긴다.

아래 사진을 보자.

2012 년 9 월 2 일에 비가 오는 와중에도 많은 박각시나 벌새처럼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않고 날개를 파닥거리며 무궁화꽃 사이를 분주히 날며 꿀을 빨고 있었다. 그런데 가만히 보니 이미 시들어서  꽃잎을 다문 꽃봉우리에도 찾아가서는 입을 씨방 부근에 쿡 찔러넣었다. 왜 저러는 걸까? 그래서 좀 더 유심히 살펴보니… 활짝 핀 꽃에 가서도, 멀정히 있는 입구는 외면하고 뒷쪽 씨방 부근으로 가서는 입을 쿡 박아넣는다. 정식적인 꽃 입구를 외면하고 꿀을 빠는 것이다. 그러니 무궁화의 씨받이에는 하나도 도움이 되지 않을 녀석이다.

근데 꿀풀처럼 작은 꽃에 갔을 때는 정식 입구를 이용한다….

가까운 꽃 사이를 움직일 때는 줄기와 잎을 기어간다. 날개는 계속 파닥인다.
이미 시들어 꽃잎을 닫은 무궁화꽃 봉우리에도 주둥이를 박고서 꿀을 빤다.
역시 씨방 쪽에 주둥이를 박고 있는 멸강나방. 이때도 역시나 날개를 파닥이고 있었다.

2012 년 9 월 중순~하순에 멸강나방이 급격히 늘어났는데, 이 현상은 태풍 산바의 영향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ps. 2020.09.11 추가

이 종이 주로 출몰하는 기간을 보면, 그해의 기온은 어땠는지 알 수 있다. 환경지표종이라고 할 수 있으려나?
예를 들어 역대 최악의 폭염이 있었던 2018 년에는 9 월 15 일 경에 나타났으며, 폭염이 거의 없었던 2020 년에는 일주일 빠른 8 월 25 일경에 나타났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