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사진카페에 비싼 렌즈와 싼 렌즈의 차이에 대한 질문글이 올라와서 이 글을 써본다.
답변으로 달린 댓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해상력, 심도 표현의 자유도, 저조도 시 셔터스피드 확보 용이성 등
- 선예도 차이
- 해상력(렌즈수차, 분해능, 샤픈), 만듦새, 신뢰성(빠른 AF모터 탑재, 방진방적 및 불소 코팅)
- 화질로 통칭되는 사진 결과물의 차이
- 확 느껴지는 차이(?), 플레어 억제, 색수차
- 해상력(해상도 x), 다이나믹 레인지, 노이즈, 색수차, 정확한 색표현력(색상, 명도, 채도)
- 렌즈의 구성, 주변부 화질, 색수차, 밝은 조리개값의 이점 + 부차적인 방진방적, 손떨방
- 낮은 조리개값+무게와 부피, 선예도, 보케(빛망울) 모양, 상황에 따른 색수차 발생, 고가의 소재 사용(투과율, 빛의 왜곡 등)
대략적인 이야기를 하나씩 최대한 간단하게 살펴보자.
1. 조리개값
조리개를 더 넓게, 또는 더 좁게 열 수 있도록 만들면 비싸진다. 당연히 더 다양한 사진을 찍을 수 있으니까 중요하다. 조래값은 사진에 여러 가지 영향을 준다. 대표적으로 빛망울, 빛갈림을 더 이쁘게 만드는 등도 중요하다.
그중에 조리개를 더 넓게 열 수 있는 건 매우 중요하다.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기 때문이다. 조리개를 더 넓게 열 수 있도록 만들려면 조리개 뿐만 아니라 렌즈 전체를 크게 만들어야 하고, 수차 등이 생기기 쉬워서 덜 생기도록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싸질 수밖에 없다.
2. 해상력과 선예도
해상력은 여러 가지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렌즈를 어떤 형태로 만들어 배열했는지1, 뭘로 만들었는지도 중요하다. 비구면렌즈를 쓰면 더 좋다.
이렇게 복잡하게 만드는 이유는 렌즈 수차(색수차 포함), 분해능, 샤픈, 플레어 억제, 주변부 화질 등, 다양한 결과에 영향이 미쳐서 따질 게 많아서 그렇다.
해상력과 선예도가 좋은 렌즈는 사진이 작게 찍혀도 활용하기 좋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중요한 건 렌즈 표면을 얼마나 정밀하게 가공했는지다. 카메라 센서를 이론상 대략 2억 화소까지 만들 수 있는데, 그런 센서로 사진을 찍으려면 렌즈가 매우 정밀하게 상을 맺어야 한다. 현재 판매되는 고가 렌즈도 보통 5000만 화소 정도의 센서까지만 의미 있는 상을 맺을 수 있다. 저가 렌즈는 몇 화소까지 지원할까?
3. 투과율
대물렌즈로 들어간 빛과 비교해서 센서에 맺힌 상의 밝기가 얼마나 밝으냐 하는 문제다. 렌즈 재료, 렌즈 형상 등이 차이가 나는 이유다. 비싼 렌즈도 보통은 종류에 따라 1/3 스탑 정도는 차이날 수 있다. 저가 렌즈는 1 스탑 이상 차이날 때도 있다.
4. 비선형
(위의 답변에서 이걸 지적한 분이 없다는 게 놀랍다.)
투과율에서 말했듯이, 대물렌즈로 들어간 빛이 센서에 상을 맺을 때 되도록 밝게 맺히는 게 유리하다. 이때 선형은 상의 밝기가 들어간 빛에 비례하게 맺힌다는 걸 뜻한다. 밝은 곳은 밝게, 어두운 곳은 어둡게 사진에 찍힌다. 그런데 그렇게 찍히는 게 늘 좋은 걸까?
예를 들어, 선형이 잘 구현된 렌즈로 사진을 찍으면 잘 나올까? 어떨 땐 그렇겠지만, 보통은 그렇지 않다. 사진 전체의 밝기에 맞춰서 사진을 찍는다고 생각해 보자. 만약에 밝은 부분이 좁다면, 그 부분은 100% 화이트홀이 된다. 사실상 대부분의 경우에 몇 PX 정도 크기로 수도 없이 많은 부분에서 화이트홀이 찍힌다고 보면 된다. 렌즈를 쓸 수 있는 환경이 제약되니까, 쓸모가 대폭 낮아진다. (이건 다이나믹레인지와는 또 다른 이야기다.)
그러면 렌즈를 어떻게 만들어야 좋을까? 비선형으로 만들어야 한다. 비선형은 대물렌즈로 들어간 빛의 양이 그대로 상의 밝기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걸 뜻한다. 이때 밝은 부분의 빛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줄이면 화이트홀이 생기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이런 문제가 가장 심하게 드러나는 사진이 불꽃놀이나 야경이다.

근데 이 부분에서 가장 뛰어난 카메라 브랜드가 캐논이다. 왜 캐논이 가장 뛰어난지는 아직 알아내지 못했다.
그 이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점이 있게 만들 수 있다.
5. 색표현력(색감)
카메라 브랜드에 따라 살색이 잘 찍히고, 바다가 잘 찍히고, 식물이 잘 찍히고…. 하는 특성이 나타난다. 그 이유는 바로 비선형 때문일 것이다.
6. 방진방적 & 방수(?)
방진방적과 방수는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여행을 할 때 어떤 카메라를 갖고 가야 할까? 폭우가 내릴 때 촬영을 해야 한다면…. 캐논이 가장 좋다. 사막에서 촬영을 해야 한다면…. 캐논이 가장 좋다. 무더운 곳에서 촬영을 해야 한다면…. 역시 캐논이 가장 좋다.

캐논이 방진방적이 가장 좋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다. 물론 찍은 사진이 좋냐 하는 문제는 또 다른 이야기니까, 실제로는 모든 브랜드가 쓰이는 것이다.
7. 손떨방
꼭 필요한 건 아니지만, 있으면 좋은 기능이 손떨방이다. 있으면 좋지만, 꼭 필요한 건 아니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손떨방 성능이 좋으질수록 점점 더 중요해진다.
8. 무게와 부피
매우 중요하다. 무겁거나 부피가 너무 크면 갖고 나가지 않아 결국 안 쓰게 될 테니까. 가장 좋은 카메라는 내 손에 들려있는 카메라라고 하는 것처럼, 렌즈도 카메라에 끼워져 있어야 좋은 렌즈다.
9. 만듦새
저는 뽀대는 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튼튼한 건 무척 중요하다.
- 몇 군 몇 옆 어쩌구 하는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