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누구나가 양치질을 한 뒤에 과일을 먹었을 때 쓴 맛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왜 양치질을 하면 쓴 맛이 느껴지는지 영 감을 잡을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쓴 맛은 일반적으로 알칼리성 성분으로부터 느껴지게 되는데 양치질을 한 뒤에 과일을 먹으면 알칼리성 성분이 생기는 것일까?
모두들 알겠지만 치약에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향료, 소독제, 불소 같은 많은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얼핏 보면 알겠지만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은 약알칼리성을 띄는 물질로 이 물질들 자체만 맛을 보면 쓴 맛을 느끼게 된다. 불소 물에 녹아있는 경우에 약산성을 띄는데 치약 속에는 미량이 들어있을 뿐이므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결국 치약을 제조하면 쓴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제품이 된다. 그래서 쓴 맛을 느끼지 않도록 달콤한 향료를 첨가하게 된다.
양치질을 한 뒤에도 상당한 시간동안 이러한 물질이 남아있게 되는데 이 물질들이 혀에서 맛을 느끼는 감각인 미뢰의 신경을 교란시켜서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게 만든다.
과일은 일반적으로 산성 물질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양치질 후 산성 물질을 섭취하면 염기성 물질과 향료와 과일의 산성 성분이 섞여서 우리의 미감을 매우 심하게 교란시킨다. 이 과정에서 염기성 물질들이 쓴맛을 느끼게끔 유발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 후 쓴 맛이 나는 치약의 경우 대부분 화학물질들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제품들이다.
시중에는 양치질 후에도 쓴 맛이 느껴지지 않는 치약도 판매되고 있으므로 쓴 맛이 싫은 분들은 이런 치약을 구입해서 사용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뱀발 :
치약에는 이빨을 깨끗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연마제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인 제품들은 연마제의 알 굵기가 매우 굵은 편이다. 치약이 선천적으로 부실한 경우는 연마제의 굵기가 작은 것들을 꼭 사용해 볼 것을 권한다.
또 연마제는 우리 위장에 매우 안 좋으니 치약이 달콤하다고 짜 먹거나 아이들에게 먹게 해서는 안 된다. 연마제를 연속적으로 섭취할 경우에는 위궤양에 걸리기 쉬워서 군대에 입대한 뒤에 의가사제대[footnote]아파서 군복무를 할 수 없는 경우 하는 제대[/footnote]를 하고 싶으면 한 달간 매일 치약을 먹으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이니 절대로 치약을 먹지 않도록 주의 한다.
저는 이런것들은 일부러 쓴것을 찾아서 사용합니다. 맛이 좋다면 입안에 많이 남아있어도 씻어내지 않게 되거든요.
(마찬가지 이유로 모기 잡을때 쓰는 살충제도 향이 첨가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죠.)
근데, 천연성분만 갖고 만든 치약은 쓴 맛이 안 난다고 합니다. ^^
ㅋㅋㅋ 의가사제대를 위한 ㅋㅋ
잘 읽었어요!
초등학교에 다니는 막둥이 동생한테 설명하려면 초큼 어렵긴 하겠지만 ^^;
케이트 상식 한 단계 업! >_ <)b
^^
막내둥이가 치약을 좋아하나봐요? ^^
요즘 치약에 들어있는 불소는 미량의 경우 상관없지만, 어린 아이들이 대량으로 복용하였을 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독성물질입니다.
집안에 아이들이 있다면 치약은 절대 손에 닿지 않게 해야 합니다.
어린이용 치약은 (6세미만) 불소가 들지 않은 것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치약이나 수돗물에 불소를 넣는 것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저 또한 선택권을 줘야 하는 수준은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하구요.
그리고 어렸을 때 불소를 많이 먹으면 이가 까매진다는 걸 생각하고, 아이들에게 잘 설득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