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하는 착각이다. 누가 퍼트렸는지는 모르겠지만…..
4 개 중에 ㅿ, ㆁ, ㆆ 3 개는 조선시대에 없어졌다. 특히 ㆆ는 아예 쓰인 적이 없던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아래아는 일제시대 때 없어지는 것으로 결론났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독립한 뒤에 찍힌 자료사진에서도 아래아(ㆍ)가 쓰인 표지판 같은 걸 많이 찾을 수 있다.
그나저나.. 얼마 전에 유투브가 ‘중국어 특강 | 이현준 대표가 말하는 훈민정음과 중국어의 비밀’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추천해줘서 한동안 살펴봤는데(기록을 보니 28 분 30 초나 봤다.^^;), 이거 순 엉터리다. 심지어 훈민정음으로 중국어를 다 기술할 수 있다고 나오는데, 사실 그렇지 않다.
중국어를 다 적기에는 4 개보다 훨씬 더 많은 발음기호가 필요하다. (더군다나 중국어는 사투리가 워낙 심해서….)
누군가가 커뮤니티에 이 영상을 올려놨길래, 다시 만난 기념으로 비추 단추를 눌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