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타일(Textyle) 기반의 블로그 서비스가 준비되고 있다. 현재는 베타테스트 중…
텍스타일의 전신 제로보드(Zeroboard)를 이야기하면 아시는 분이 많으실듯한데, 이것이 RSS를 갖춰 게시판에서 블로그툴로 진화하더니 Tistory를 잡겠다는 목표(?)로 가입형 블로그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것 같다.
간단하게 구현한다는 기능을 살펴보니
- TTXML(Tatter계열 블로그의 백업파일 포멧) 지원
- OpenAPI를 이용한 일기와 쓰기 지원
- 독립도메인 지원 – DNS 내장
- 전자신문의 기사 스크랩과 편집 지원
- 재미있는 편집기 + 글감 수집기 기능
정도가 그 특징인 것 같습니다. 기능 자체는 저도 한 번정도는 있었으면 좋겠다고 쓴 것들이네요. 신문 기사의 스크랩과 편집 지원사항만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것이고….
다른 말로 한다면, 이 블로깅툴을 사용하면 (구현을 제대로 한다면) 멀티블로그를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글쓰기 작업도 완전 날라다니면서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블로그 사이트로서가 아니라 지금 당장 필요한 멋진 블로깅 툴로 자리잡을 수 있지 않을까 싶을 정도입니다.
물론 한계 또한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우선 구현하겠다고 한 기능들이 과연 완벽하게 작동할 것이냐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운영주체가 네이버인데, 네이버 블로그는 사용자는 많지만 사실 편집기조차 버그 투성이여서 글 쓰다가 날리기 십상입니다. 이런 불안정한 상태가 토트에서도 마찬가지라면 사용은 힘들어질수도 있습니다. 더군다나 그동안의 네이버를 믿지 못한 탈네이버 유저들에겐 네이버 자체가 아주 커다란 문턱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저작권에 관련해서 보장한다고 하지만…)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TTXML은 차츰 블로그쪽의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나보네요. 세계적으로도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네요. ㅋㅋ
TTXML이 몇 가지 약점만 보강한다면 참 괜찮은 백업 포멧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약간의 오해가 있으신 듯 합니다. :-)
텍스타일은 XpressEngine에서 사용할 수 있는 블로그 모듈의 이름입니다. XpressEngine(http://www.xpressengine.com)은 보통 줄여서 XE라고 부릅니다. 현재 XE와 텍스타일을 비롯한 대부분의 모듈들은 오픈소스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XE 개발은 예전에 제로보드를 개발했던 제로님을 비롯해서 NHN의 오픈UI팀에서 담당하고 있지만, 저를 비롯해 많은 분들이 XE 개발에 함께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토트(http://thoth.kr)는 NHN과는 그다지 관계가 없습니다. 오픈소스로 공개된 XE와 텍스타일을 가져다가 전자신문사의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가입형 블로그 서비스입니다. NHN에는 이미 네이버 블로그가 있는데 새로운 가입형 블로그 서비스를 만들 이유는 없겠지요.
이상하게 XE와 텍스타일로 만들어고 있는 토트를 NHN과 관계 짓는 분들이 많던데, 이건 오해가 분명합니다. :-)
XE와 텍스타일이 NHN의 개발자들이 중심이 되어 개발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이분들만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것도 아니며 다른 분들도 많이 참여하고 있고, 또한 이것들은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든 가져다 쓸 수 있는 것들입니다. 이것들을 주력으로 개발한 분들이 NHN 소속이기 때문에, 토트가 NHN과 관계가 있다는 것은 맞는 말이겠지만, 그렇다고 말씀하신 그런 관계는 아닙니다.
이미 토트가 아닌 텍스타일 기반의 가입형 블로그 서비스는 나와있습니다. 물론 토트처럼 회사의 후원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개인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차이는 있지만요.
말씀 감사합니다.
어떤 공지블로그에선가 네이버와의 연관성을 언급한 것이 있기 때문에 네이버와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하게 된 것일껄요??
암튼 잘 알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