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품 윈도우7에서 Boot USB 만들기

14 comments

윈도우7(Windows7) Boot USB를 만드는 것은 Windows Vista나 Windows7이 설치된 컴퓨터가 있으면 편하다. (윈도우 Vista 또는 윈도우7이 설치된 컴퓨터가 없다면 “WinSetupFromUSB를 이용한 다양한 부팅USB 만들기“를 따라하면 된다.) 일단 컴퓨터와 준비물만 마련된다면 Boot USB를 만드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했다. 아래의 방법을 똑같이 따라하면 모든 USB메모리는 예외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준비물 : 4GB 이상의 USB메모리나 메모리카드, Windows7 DVD 또는 이미지

이 글이 처음 작성될 때는 베타버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는데, 정식버전에서는 방법이 약간 바뀌어 새로 수정한다. USB메모리는 Windows7 정품의 용량이 4GB 정도이므로 4GB 이상인 제품이 필요하다.

우선 USB메모리 또는 메모리카드를 Windows7 또는 windows vista가 설치된 컴퓨터에 꽂고 밑의 작업을 따라한다. 작업을 하기 전에 USB메모리에 있는 내용은 꼭 백업해두자. 작업 도중에 포멧(format)하는 과정이 있으므로 모든 자료는 지워진다. diskpart란 것은 콘솔의 외부명령어로서 windows XP에서 디스크관리툴과 비슷한 것이라고 보면 될듯하다. (windows7에서는 디스크 관리 툴이 또 따로 있다.)

  1. 시작의 실행창에 diskpart 입력 → 뭔가 묻는 창이 뜨면 “예”를 클릭
  2. list disk 입력 → Boot USB로 만들고자 하는 USB메모리의 disk 번호를 확인
  3. select disk [disk 번호]
  4. clean
  5. create partition primary
  6. list partition → 생성된 partition 번호를 확인
  7. select partition=[partition 번호]
  8. active
  9. format fs=ntfs → 무척 오래 걸림
  10. assign
  11. exit

disk 번호를 헤깔리지 않도록 주의 또 주의한다. 이 거 잘못 입력하면 HDD가 날아가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몇 GB 안 되는 USB 또는 메모리카드를 format하는데 시간이 꽤 걸렸다. 왜 그렇게 오래 걸리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위의 작업이 다 끝나면 마지막으로 한 가지 작업만 더 하면 된다.

USB메모리와 windows7 DVD가 들어있는 드라이브가 각각 Q, R이라고 하자.

  • 시작의 실행창에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xcopy  R:\*.* /s/e/f Q:\
  • xcopy를 사용하지 않고 윈도우즈 탐색기를 통해서 복사해도 된다.

복사 작업도 모든 화일을 복사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렇게 작업을 끝낸 USB메모리 또는 메모리카드로 부팅하고 Windows7을 설치할 수 있다.

USB메모리로 부팅하는 방법은 노트북이나 넷북에 따라서 F12번 키나 텝키를 누르면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컴퓨터에 따라 매우 다양하므로 이 글에는 어울리지 않아 모두 생략한다. 모르겠으면 제조사에 문의한다.


Windows7 DVD로 부팅했을 때 복구모드로서 콘솔모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Boot USB를 만들 수는 없었다. ‘작은
유틸리티 두 개만 넣어주면 가능한 일일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정식 Windows7이 발매됐을 땐 Windows7
DVD로 부팅해서 바로 Boot USB를 만들 수 있게 되길 희망해본다.

ps. windows7 DVD를 주신 무적전설 님께 감사드린다.

14 comments on “정품 윈도우7에서 Boot USB 만들기”

  1. 핑백: Image Generator
  2. 핑백: Prac's World~
    1. 빠른 포멧이 아니었습니다만, 그렇다고 몇 기가밖에 안 되는 용량을 생각한다면 지나치게 오래 걸린 거죠. ^^;

  3. 빠른 포맷을 하려면 quick 옵션을 해줘야 해요 ㅋㅋㅋ

  4. 고맙습니다..
    비스타에서는 댓는데
    윈도7에서는 잘안대서
    해맸느데 명령어가 좀 틀렷군요
    제블로그에 링크해갑니다..

    1. 제 글을 그대로 가져다가 옮기셨군요. 제 블로그는 펌을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삭제해 주시길 바랍니다.

  5. 빠른포맷 명령어
    format quick fs=ntfs

    1. 위에서 말씀드렸지만, 빠른포멧 명령어를 사용할 수가 없어요. ^^;
      단순한 command 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이 아닙니다. ^^;

  6. 아..그런가요?
    저는 다른 글을 보고 저렇게 입력했더니 포맷이 됐던 걸로 기억해서요..
    혹시나 저 방법이 안된다고 해도 편법이 있습니다!!

    8번. active 까지 진행 한 후에

    탐색기에서 포맷을 하면 “빠른포맷”을 진행 할 수가 있지요!

    그런 후에
    10번. assign 하면 됍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