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품처럼 사라지는 탐구 시간 – 『거품의 과학』

No comments

거품(기포, bubble)은 보통 집중해서 생각하거나 살펴볼 기회가 별로 없는 대상이다. 이 블로그에도 거품에 대한 글은 두 개인가 세 개인가를 적은 것이 고작이다.

기포발광학과 상온핵융합
보기 힘든 공기거품
우주의 구조에 대한 단상..

거품에 대한 글은 쓰기 힘들지만 그만큼 블로그를 방문하는 분에게 깊은 인상이 남는 것같다. 그런데, 나도 똑같은 이유로 이 책을 선택하게 됐다. 이 책은 제목이 말해주듯이 거품에 대한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하고 있다. 총 일곱 가지 꼭지로 이뤄져 있는데, 첫 꼭지는 거품에 대해 지금까지 진행됐던 유명한 연구를 소개하고 있고, 두 번째부터 일곱 번째까지 여섯 꼭지는 실질적인 거품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혹시나 광학과 관련된 내용도 나오지 않을까 약간은 생각했는데, 광학에 대한 이야기는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

거품의 과학 – ★★
시드니 퍼코위츠 지음, 성기완.최윤석 옮김
사이언스북스
신국판 / 떡제본 / 246 쪽 / 2도 인쇄
15000 원
ISBN 978-89-8371-140-3 03400

저자 시드니 피코위츠란 분은 참 재미있는 생각을 많이 하는 것 같다. 책 내용도 상당히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다. 책 느낌이 너무 생소하기 때문에 책을 평가할 때 이렇게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 평소 거품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것이 거품과 관련있다는 이야기나 내가 예전에 블로그에 썼던 이야기의 확장된 이야기도 종종 볼 수 있었다. 아마 원서를 읽을 수 있다면 대단히 재미있을 것 같다.
그런데 이 책 문제점은 번역 때문이었다. 별점을 주자면, 원서는 최소 넷은 됐을 것 같은데, 번역 때문에 두 개로 낮아졌다. 내가 껄끄럽게 봤던 것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광천수의 거품이 이산화탄소가 분해된 것이라고 알려진 후에는 저명한 과학자들이 인공적으로 기체를 물에 넣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 78 쪽

이것 때문에 물, 그리고 물 안에 포함된 소금 등의 비유기물과 생물과 해양 유기체의 일부나 전류까지도 바다에서 공기 속으로 퍼진다.

– 183 쪽

파도는 해변과 바다 사이에서 거품 이는 물이 소용돌이 치는 지대이다.

– 188 쪽

티끌 조각들은 인력으로 서로를 끌어당겨 점점 커지면서 조약돌만 하던 것이 바위가 되고….(중간 생략)….행성이라고 해서 다 티끌에서 유래한 것은 아니다. 목성 같은 외행성은 중심부에 바위 덩어리 같은 핵이 있고 그 주위를 일부 액화한 기체가 둘러싸고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지구, 수성, 화성, 금성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물질과 화학 원소는 티끌에서 비롯했다.

– 204 쪽

78 쪽과 183 쪽은 오역이 분명해 보인다. 188 쪽은 글을 쓰면서도 흔히 실수하는 것으로, 문장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204 쪽은 원본에서 실수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네이버 오늘의 과학 중 ‘외계 행성 탐험 _ 슈퍼 지구를 찾아‘에서 슈퍼지구 이야기처럼 전혀 엉뚱한 이야기를 하는 것 같다. (슈퍼지구 이야기는 완전 소설이나 진배없다. 내가 NGC 다큐멘터리를 안 좋아하는 이유다.)

어째서 이런 일이 생겼을까? ‘옮긴이의 글’에서 번역자가 말하고 있듯이 번역자가 충분히 내용을 소화하고 있지 못해서 발생한 것 같다. 단어나 어휘 선택의 기로에서 내용을 충분히 알지 못해서 그른 선택을 했다고 보여진다.

또 한 가지 결점은 원서가 2000 년 책이다보니 현재 과학과 안 맞는 부분이 조금씩 보인다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우주 크기인데, 이 책에서는 150억 년으로 나오지만, 허블 망원경의 deep field 사진과 ultra deep field 사진으로 137억 광년이라는 것이 대세로 자리잡았다. 에어로젤(aerogel) 대량생산 방법이 2003 년에 아스펜 에어로젤 사에 의해 개발되었지만, 이 책에서는 여전히 생산에 오래 걸린다고 나온다. 이런 것이 몇몇 눈에 띄지만, 이런 건 어쩔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암튼, 이 책은 번역에 큰 문제가 있다. 『블랙홀과 시간굴절』에서도 이야기했지만 특이한 분야의 책으로서 좋은 책이 될 수 있었는데 번역자 문제 때문에 실패한 것 같아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사이언스 북스가 평소에는 꽤 정확하게 책을 만든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에서는 왜 이런 선택을 했는지 잘 모르겠다. (역자가 자비출판한 것일까?)

책 자체는 재미있으니 읽겠다면 말라지는 않는다. 다만 슬슬 읽고, 활용하려고 했다간 원인을 알 수 없는 오류와 싸워야 할 것이다. 역시 학생에게는 권할 수 없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