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물리 차례

[별의 물리] 차례

No comments

나는 이 목록대로 [별의 물리] 시리즈를 써나갈 생각이다. 절반 정도는 이미 초안이 있고, 나머지는 순서가 됐을 때 쓸 것이다. 이걸 모두 쓰기 위해서는 시간이 한참 걸릴 거라는 뜻이다. 상황에 따라서 목록이 바뀌거나 빠질 수도 있다.


1. 기본이론

  1. 갈릴레이 상대성
  2. 뉴턴의 중력이론
  3. 평형
  4. 파동
  5. 흑체복사
  6. 스펙트럼
  7. 상대론적 시공간 변화
  8. 도플러효과
  9. 도플러효과 응용

2. 자전

  1. 천체의 주기운동
  2.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무게
  3. 별똥별 꼬리 길이
  4. 전향력
  5. 극소용돌이
  6. 지자기 형성
  7. 조석작용
  8. 달과 지구의 세차운동과 장동운동

3. 인공위성

  1. 인공위성 궤도
  2. 우주엘리베이터
  3. 로켓이 날아가는 방향이 항상 같은 이유
  4. 행성탐사위성의 스윙바이

4. 운석공

  1. 운석공
  2. 딱딱한 별의 물성
  3. 운석과 운석공의 관계
  4. 여러 운석공 형태
  5. 운석공과 관련된 지형
  6. 애리조나 운석공
  7. 칙슐립 운석공
  8. 대척점과 대멸종

5. 홑별

  1. 별의 생성
  2. 복사압과 별의 크기 (정리 필요)
  3. 별의 일생
  4. 별의 종말
    • 초신성 폭발
    • 행성상 성운 Helix nebular
    • 감마선 방출
    • 중원소 생성과 초기별
    • 우주선(Cosmic ray)
  5. 극초신성과 지구 (에타카리나)

6. 짝별

  1. 라그랑주점
    • 허블 우주망원경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 SOHO 태양관측위성
  2. 로슈의 한계
  3. 짝별의 진화
  4. 짝별의 변광
  5. 신성과 Ia형 초신성

7. 별의 집단

  1. 산개성단
  2. 구상성단
  3. 은하
  4. 중력렌즈 관측

8. 맺음말

※ 달에 관한 추측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