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리더는 RSS를 제공하는 블로그나 개조된 게시판에 새로 올라오는 글들을 편리하게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웹사이트다. 보통 프로그램은 설치형 리더이라 부르고, 웹사이트는 웹기반형 리더로 부른다.
한글문화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RSS리더(RSS구독기)는 웹기반형 RSS리더인 한RSS로 회원수는 약 6만명 정도다. 그리고 한RSS는 회원들의 활동을 분석하여 가장 인기있는 글들을 모은 페이퍼와 블로그 특성에 따라 분류한 테마, 주로 올라오는 글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 디렉토리로 분류해 소개해주는 서비스다. 한RS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해야 한다.
설치형 RSS리더기의 대표 프로그램이었던 연모는 한 때 한RSS보다 사용자가 많았으나 사용자의 컴퓨터가 느려지고, 연모 프로그램을 설치한 사용자의 컴퓨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서 점차 사용자가 줄어들고 있다. 연모 프로그램도 연모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해야 한다.
1. 한RSS를 이용하여 구독하기
블로그 또는 게시판에서 RSS 주소를 찾았다면 이 RSS 주소를 한RSS에 추가하면 간단하게 글을 읽을 수 있다. 한RSS의 메인페이지를 보면 어떤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① RSS 피드(feed) 추가하기
로그인을 하면 “추가” 링크(Link)를 간단하게 발견할 수 있다. 이 추가링크를 클릭하면 RSS 주소를 입력하는 창이 나오는데 이 곳에 RSS 주소를 입력하고 추가 단추를 누른다.
추가 단추를 누르면 분류를 선택하는 창이 나오게 되고, 블로그에 맞게 분류를 선택하고 확인 단추를 누르면 새로 추가된 블로그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처음 추가된 블로그에는 각각의 블로그에서 1회에 제공하는 RSS의 글 개수를 보여준다.
블로그 RSS를 등록하고 구독하다보면 글 전체가 보이지 않고 짧게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는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가 자신이 운영하는 블로그의 RSS 생성 옵션에서 일부분만 보내기 또는 요약 보내기로 설정해 놓았기 때문이다. (요약 보내기 기능은 WordPress 등 일부 블로그툴에서만 지원한다.)
때때로 RSS 또는 ATOM 주소임에도 한RSS에 등록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새로 갱신되는 내용을 직접 확인할 수는 없지만 즐겨찾기를 할 수 있다. 추가 링크를 통해 새로운 feed 등록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을 경우 단추가 나타나게 된다. 또는 직접 즐겨찾기 탭(이미지의 녹색 네모)으로 이동하면 즐겨찾기를 할 수도 있게 된다.
피드(RSS) 분류 추가 등의 기능은 편집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편집페이지는 추가 단추 옆의 편집 단추를 누르면 볼 수 있다.
직접 한RSS에 RSS 주소를 등록하는 것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일부) 가입형 블로그에선 좀 더 쉽게 등록하는 방법을 마련해놓고 있다.
읽기를 원하는 블로그에서 RSS아이콘을 클릭하여 접속하면 상단에 RSS리더 사이트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구독기는 한RSS, 블로그라인, 구글리더, My Yahoo로 가장 많은 독자가 사용하는 리더기들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다수의 블로거가 블로그를 운영중인 블로그 서비스들인 네이버, 티스토리, 이글루스 등에서 지원하고 있어 RSS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RSS리더에 추가해야 하는 경우는 일은 드물다.
2. RSS리더 사이트 모음
RSS리더 사이트들은 대부분 영어권 사이트에 만들어진 것들이다. 한글문화권의 블로그들도 등록하고 이용하는데는 지장이 없고, 다만 메뉴나 설명 등만 영어로 지원한다.
주로 사용하는 목록은 다음과 같다.
Fish : http://3fishes.co.kr
한RSS : http://www.hanrss.com
구글 리더 : http://www.google.com/reader
FeedBurner : http://feedburner.com
Referz : http://www.referez.com
피드웨이브 : http://www.feedwave.com
BlogLines : http://www.bloglines.com
My Yahoo : http://rss.yahoo.com
3. RSS리더 프로그램 연모를 사용하여 구독하기
RSS리더 프로그램인 연모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직접 설치하고 직접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블로그의 RSS를 계속 검사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이용량이 많고, 항상 실행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느려지는 등의 부담이 있다. 이 꼭지에선 연모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RSS를 등록하는 것까지만 살펴본다.
연모 프로그램은 연모 홈페이지(http://yeonmo.theple.com)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것이 2007년이므로 현재는 개발이 중단되고, 서비스만 운영되고 있는 중이다. 연모 프로그램의 설치를 끝내고 로그인하면 이전에 자신이 등록했던 블로그의 RSS피드로부터 자동으로 새로 글이 있는지 검색해준다. 일반적으로 연모를 통해 구독하는 방법은 간단하므로 여기서는 새로운 RSS를 등록하는 방법만 이야기하겠다.
새로운 분류를 만들고자 할 때는 만들고자 하는 위치의 분류에 마우스 오른쪽버튼 클릭을 하고 ‘새 폴더’를 선택하면 된다. 기존의 분류나 피드(RSS)를 삭제하고자 할 때는 삭제하고자 하는 분류나 피드(RSS)이름 위를 마우스 오른쪽버튼 클릭으로 누르고 ‘삭제하기’를 선택하면 된다.
일반적인 설치형 RSS리더들도 사용방법은 거의 비슷하므로 위의 설명을 이해했다면 특별한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4. RSS리더 프로그램의 종류
RSS리더 프로그램 중 인기있는 아래의 네 종류 정도이다. 많이 사용되지는 않으므로 참고삼아 알아두는 것이 좋겠다.
Klipfolio : http://www.klipfolio.com
FeedDemon : http://www.newsgator.com/Individuals/FeedDemon/Default.aspx
연모 : http://yeonmo.theple.com/
불로고수 필진중 한 명인 어복민이라고 합니다^^
요즘 RSS에 대해서 다른 사람에게 알려줄 기회가 많은데
꼭 이 포스팅을 읽어보라고 권장한답니다 ㅋ
좋은 포스팅 감사하단말 전하고 싶었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